Bio-Conversion 기술
		생물전환이란 미생물 발효 및 효소처리 등 생물학적 방법을 통해 천연물 생리활성물질의 구조적 변화를 통해 유효성분의 함량 증가, 흡수율 개선 및 새로운 기능성분 생성을 유도하는 작업으로, 생물전환기술을 통해 천연물에 있는 유용물질의 체내 이용의 개선은 물론 효능 및 효과를 개선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습니다.
		AT는 지난 수십 년의 연구로 축적된 생물전환기술을 통해 차별화된 효능의 소재를 개발하고 있습니다. 
	
- 기능성곡물 
 국내자생자원
- 면역다당체 
- 기능성분 
Bioconversion
semosemosemosemosemo- Bioconversion 소재 개발
- 함량 증가 
- 흡수율 개선 
- 새로운 기능성분 생성 
제5세대 기술
제4세대 기술
제3세대 기술
제2세대 기술
제1세대 기술
- 천연물배지를 이용한 버섯균사 발효 및 효소처리 (추출)물 
- 천연물배지에서 배양, 발효된 버섯균사발효 (추출)물 
- 버섯 (균사체) 효소처리추출물 
- 버섯 (균사체) 열수추출물 
- 버섯 (자실체) 열수추출물 
버섯(자실체) 열수추출물
* 버섯의 자실체를 달여먹는 방법
 
	- 표고버섯균사
- 발효공정 Bioconversion
- 효소처리공정 Bioconversion
- 흑미강
- 아리비녹실란
- 베타글루칸
- 항산화기능
- 새로운기능성분
- 면역세포 및 간 기능 강화
- 항생제 대체물질 연구
- 학술회 연구 발표
면역세포 강화
‘노벨상도 인정한 수지상 세포’ 수지상 세포의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AT 면역기술
- 2011년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
- 랠프 슈타인만: 후천적 면역에서의 수지상 세포의 역할
- - 면역이의 수지상 세포 기능 강화
				 <정부과제 결과>
				
				<정부과제 결과>
				
- 브루스 보이틀러: 선천적 면역과 신호전달체계 (TLR)
- - 세포신호 전달에서 당의 역할
				 <수지상 세포>
				<수지상 세포>
				
간 기능 강화
- 면역강화의 첫걸음 – 간 건강 관리
- - 에너지 대사 기능 강화
- - 에너지 대사 기능 강화 → 간 건강 강화를 통한 가축 생산성 향상
- - 에너지 대사 기능 강화 → 질병 억제
- 모나콜린 K를 통한 간 기능 강화
- - STR 바이오텍과 공동 특허 취득
 
		항생제 대체물질 연구
- 1) 대식세포 활성화
- - 내용: 대식세포 Interferon-β 생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
- - 성과: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사이토카인인 Interferon-β 를 측정하여 BPP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함
 ▪ Bioconversion에 의해 원물 대비 면역활성을 256배 이상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, 논문상으로 이미 알려진 어떠한
					β-Glucan 보다도 낮은 농도인 1㎍/㎖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음
				※NO (Nitric Oxide, 일산화질소):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물질로 항세균 효과가 있으며 Th1세포의 분화는 촉진하고 Th2, Th17세포의 분화는 
									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됨
				▪ Bioconversion에 의해 원물 대비 면역활성을 256배 이상 획기적으로 향상시키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으며, 논문상으로 이미 알려진 어떠한
					β-Glucan 보다도 낮은 농도인 1㎍/㎖에서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키고 있음을 확인하였음
				※NO (Nitric Oxide, 일산화질소):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물질로 항세균 효과가 있으며 Th1세포의 분화는 촉진하고 Th2, Th17세포의 분화는 
									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고됨				
			- - 내용: 대식세포의 Salmonella 포식 및 살해능 평가
- - 성과: 주요 면역세포인 대식세포의 Salmonella 포식능을 관찰하여 BPP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함
- 포식능 조사
 
- 포식 후 살해능 조사
 
- - 내용: 대식세포의 NO (Nitric Oxide) 생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
- - 성과: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NO를 측정하여 BPP가 대식세포를 활성화시킴을 확인함
 
			▪ BPP213 처리 후 대식세포의 사이토카인 생성에 미치는 영향 평가 ▪ BPP213에 의해 IFN-β 의 생성이 농도 의존적으로 생성량이 많아짐을 확인 ※ IFN-β : 대식세포가 생성하는 사이토카인 중 하나로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으며 Th1세포의 발달에 관여함
- 2) 살모넬라 감염 동물모델에서 세균 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 평가
- - 성과: 살모넬라를 감염시킨 동물모델에서 세균감염에 대한 사망률 개선 효과 확인
- 3) 살모넬라 감염 동물 모델에서의 면역활성 평가
- - 성과: Th1 면역반응과 관련된 Cytokine의 생성량 증가를 확인
세계한돈수의학회
 
	 
	











